우리는 살아가면서 다른 사람들에게서 무언가를 많이 배우게 되고 편향된 시각을 버리게 됩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기 정말 어려울 때도 있고 그게 정말 나한테 도움이 되는지도 잘 모를 때가 많습니다. 특히나 이게 가스라이팅일 경우 피해야 되겠죠. 그래서 좋은 사람을 만나서 이야기를 나눠야 하겠지만 잘못된 방향으로 선택을 하는 경우 안 좋게 빠질 수 있는 현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고슴도치 딜레마
사람은 다른 사람을 만나면서 배울수도 있지만 상처도 받을 수 있습니다. 같이 있고 싶으면서도 떨어져 있고 싶은 마음 2개가 공존하는거죠. 이걸 고슴도치 딜레마라고 합니다. 대상에 대해 자립과 일체감이라는 양면성이 공존하는 모습은 고슴도치의 모습과도 닮아 있습니다. 1951년 독일의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는 이를 고슴도치 딜레마라고 표현했습니다. 고슴도치가 서로 모여서 따뜻하게 체온을 유지하고 싶어 하지만 뾰족한 바늘 때문에 서로를 가까이할 수 없다는 내용이지요.
추운 겨울날, 몇 마리의 고슴도치가 모여 있었는데 가까이 다가갈수록 그들의 바늘이 서로를 찔러서 결국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추위는 다시 고슴도치들을 모이게 만들었고, 똑같은 일이 반복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한 고슴도치들은 서로 최소한의 간격을 두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 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 쇼팬하우어 저서 <<소 논문집과 보충 논문집>> 중에서 -
칩거 현상
정신분석학자 프로이트Freud는 저서 <집단 심리학과 자아의 분석>에서 고슴도치 딜레마를 인용하기도 했는데요 이후 심리학의 영역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한 때 1인 가구의 증가와 코로나로 인해 독립 성에 대한 문제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남에게 상처 주거나 상처받는 일이 두려워 스스로를 고립시켜 버리는 현대형 고슴도치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히키코모리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히키코모리는 오랜 기간 사회와의 접촉을 극단적으로 기피하는 행동을 보이는 사람을 칭하는 신조어로 정신 병리학적으로는 회피성 성격장애로도 설명됩니다. 국내에서는 은둔형 외톨이라고도 칭하는데 이들은 회피성 성격장애 증상이 명확하게 보이고 증상이 심해지면 집이나 방에서 잘 나오지 않는 특징을 보입니다. 적당한 심리적 거리에 대해 각자의 입장이 다르고 어떤 부분에서는 심각하게 병리적인 특징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극성화 현상
연구 결과에 의하면 유사 의견을 가진 사람들 간 상호작용인 '동질성(homophily)'이 극성화를 초래한다는 주장이 있었습니다. 이 주장은 케이블 뉴스, 토크 라디오, 인터넷 등의 발전이 극성화에 기여했다고 주장합니다: 정보원의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이를 개인의 특정한 취향에 딱 맞게 좁혀 즐길 수 있는 능력(수동적으로든 알고리즘을 통해서든, 예를 들어 추천 시스템을 통해)이 확대되면서 메시지의 반복적인 재확인이 증가하여 궁극적으로 극성화를 초래한다는 것입니다.
편향된 시각의 장단점을 따지기 전에 극상화만 따졌을때 위와 같이 남편, 아내, 친구 등 같이 지내는 사람들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 뇌의 극성화 현상 장단점
https://todaysocialaddress.tistory.com/128
분열을 유도하는 뇌의 극성화(인지 편향)와 극성 해소 방법 [사회 심리학]
인지편향과 뇌의 극성화는 비슷하지만 다른 개념 인지 편향(Cognitive Bias): 이는 개인의 판단이나 결정을 내릴 때 발생하는 심리적 편향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정보에 대한 특정한 경향이나 실
todaysocialaddress.tistory.com
모험적 도전 현상
집단에서 어떤 의사 결정을 하면 대부분 혼자 결정할 때보다 더 모험적인 쪽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 집니다. 여럿이 모여 결정을 하면 혼자 결정할 때보다 더 모험적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모험 이행(Risky Shift)'이라고 합니다.
Degroot 모델 현상
Degroot 모델에서는 각 개인들이 현재의 의견과 이웃들의 의견의 가중 평균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업데이트합니다.
일부 변형된 DeGroot 모델은, 예를 들어 고집 센 개인들(의견이 변하지 않는 사람들)을 도입함으로써, 다양한 문제에서 지속적인 불일치를 설명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나 이 모델은 의견을 반복적으로 평균화하면서 초기 의견보다 덜 다양한 의견을 형성한다는 결과가 나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DeGroot_learning
DeGroot learning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ocial learning process DeGroot learning refers to a rule-of-thumb type of social learning process. The idea was stated in its general form by the American statistician Morris H. DeGroot;[1] antecedents were articulate
en.wikipedia.org
얼마나 가깝게 유지를 해야할까? (실제 거리)
너무 가까이 가면 문제가 생기고, 혼자 있어도 문제고, 편향된 사람들을 만나도 문제고 도대체 얼마나 거리를 유지해야 할까? 미국의 문화인류학자이자 사회학자 에드워드 홀Edward T hall은 컬럼비아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나바호족 호피족 에스파냐계 미국인 트루크족 등과 함께 근접학 proxemics 연구를 통해 동양을 고맥락 high context 사회 서양을 저맥락 사회 low context라고 표현했습니다
동양의 개인은 비교적 모든 문제에 앞서 인간이라는 개체가 속한 전체 맥락과 관계 속에서 파악되는 것이며 인간관계에서 인간 사이의 거리 는 네 가지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이죠
1 친밀한 거리(Intimate Distance 45cm 이하 이내): 밀접한 거리에서 대화가 이뤄지는 사이 남 편과 아내 부모와 자식 연인처럼 아주 친밀한 관계가 전제
2 개인적인 거리 (Personal Distance 45 ~ 120cm ): 손을 뻗으면 닿을 수 있는 거리가 허용되는 사이 일상 생활에서 무난하게 활용되는 격식과 비격식의 경계에 있는 관계
3 사회적인 거리 (Social Distance 120 ~ 366cm ): 사회적 활동과 사교적 거리로 보통의 목소리로 말할 때 들을 수 있는 거리 사회생활 직업 등의 공식적인 행동을 할 때 많이 쓰이며 보다 정중한 격식이나 예 의가 요구되는 관계
4 공적인 거리 ( Public Distance 366cm ~ 762cm ): 큰소리로 이야기해야 하는 거리 연설이나 강의와 같은 특수한 경우이며 말하는 사람은 여러 청중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거리여야 하고 듣는 사람은 말하는 사람에게 피해 가지 않는 행동을 노출시키지 않는 거리가 일반적
상처받지 않을 정도의 적절한 거리 유지하기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은 어떤 거리에서 가장 편안함들을 느끼시나요? 서로에게 가시로 상처 주지 않으면서도 온기를 느낄 수 있는 적절한 거리는 어느 정도 일지 생각해 보게 됩니다. 인간관계에서 뾰족한 가시는 누구에게 나 존재할 것입니다 누군가는 그 가시를 드러내지 않은 채 품고 있고 누군가는 가시로 경고를 보냅니다. 어쩌면 우리는 상처받기 싫은 마음 때문에 고슴도치처럼 한껏 가시를 세운 채 누군가를 상처 주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누군가와 연결감을 느끼고 친밀해지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일 것입니다. 마음을 닫고 혼자서 생활하는 것은 스트레스가 되기도 하고 부정적 정서가 더욱 오래 지속되게 만들기도 합니다 회피라는 방어기제는 때때로 우리를 보호하기도 하지만 적당하게 상처받지 않을 정도의 적절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입니다.
'쉬는 공간 > 인문학적인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생활에 위협] 위험한 것을 감지하는 방법 1편 (1) | 2025.03.13 |
---|---|
분열을 유도하는 뇌의 극성화(인지 편향)와 극성 해소 방법 [사회 심리학] (8) | 2024.01.05 |
[사회생활적 접근] 영화 서울의 봄 실제 사건 정리 및 감상 후기 (3) | 2023.12.24 |
연민을 느끼는 사람들은 남을 도와주면 안된다 - 길고양이 먹이주기편 (8) | 2023.11.19 |
한국인으로서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중 누구를 지지해야 될까? (2) | 2023.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