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7

[일상생활에 위협] 위험한 것을 감지하는 방법 1편 전문가들은 위험(risk)을 부정적인 결과의 규모와 발생 확률의 조합으로 정의하는 반면,일반 대중은 자발성(voluntariness), 개인적 통제 가능성(possibility of personal control), 친숙함(familiarity) 등 다양한 기준을 포함하여 위험을 인식한다. 위험 인식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앞으로 위험인지를 통한 계획과 커뮤니케이션으로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일반인이 위험인지에 조심해야 하는 부분위험 인식을 잘못했을 경우 1. 한쪽으로 쏠리거나, 2. 문제점을 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위험 관리자는 심리 측정 및 태도 연구에서 밝혀진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인지해야 한다. 확률의 의미를 부정확하게 인식하는 문제              - 예.. 2025. 3. 13.
어렸지만 행복하게 지냈던 그 날들 어렸지만 행복하게 지냈던 그 날들 따뜻한 햇살이 나무 사이로 은은하게 내리쬐고 어느때와 같이 선선한 봄 향기를 코로 맡을 수 있었던 그날. 학교에 도착하니 바닥에서 슾하고 왁스로 탁하진 나무 냄새가 났다. 이 반도 마지막이다. 반 친구들이랑 같이 잘지냈거나 아쉽다고는 말을 못하겠다. 나는 그때 잘난척도 잘하고 친구들에게 화도 잘내서 반 친구들이 나를 좋아하지 않았다. 반을 떠나는 마음과 새로운 반에 대한 약간의 기대만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어린 나는 다음에 무엇이 올지 상상도 못하고 있었다. 마지막 고학년 반배정을 받으며 나는 짝궁인 그녀를 처음 만났다. 처음 만난 어린아이들이 서슴없이 금방 친해지는 것처럼 나도 그 짝궁이랑 친해졌다. 오래전의 기억이라 지금은 기억이 안나지만 그 여자랑 영어, 책, 외국 생활 이런 이야기를 주로 했던것.. 2024. 1. 17.
분열을 유도하는 뇌의 극성화(인지 편향)와 극성 해소 방법 [사회 심리학] 분열을 유도하는 뇌의 극성화(인지 편향)와 극성 해소 방법 [사회 심리학] 인지편향과 뇌의 극성화는 비슷하지만 다른 개념 인지 편향(Cognitive Bias): 이는 개인의 판단이나 결정을 내릴 때 발생하는 심리적 편향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정보에 대한 특정한 경향이나 실수를 일으킬 수 있는 판단의 왜곡을 말합니다. 뇌의 극성화(Neural Polarization): 이는 뇌의 특정 영역이나 네트워크가 특정한 생각, 태도, 또는 행동에 편향되거나 극성화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특정 뇌 활동이 특정 관념 또는 행동과 연결될 때 발생합니다. 완전히 다른 개념이지만 비슷해서 둘이 같다고 생각하고 글을 적어보았습니다. 인지 편향 장단점 인지편향은 정보를 인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선입견이나 경험이 영향을 주어서 판단이 왜곡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 2024. 1. 5.
정치 사회에서 자주 보이는 편향된 극성화 현상 정리 [ 분노 사회 심리학 ] 정치 사회에서 자주 보이는 편향된 극성화 현상 정리 [ 분노 사회 심리학 ]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른 사람들에게서 무언가를 많이 배우게 되고 편향된 시각을 버리게 됩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기 정말 어려울 때도 있고 그게 정말 나한테 도움이 되는지도 잘 모를 때가 많습니다. 특히나 이게 가스라이팅일 경우 피해야 되겠죠. 그래서 좋은 사람을 만나서 이야기를 나눠야 하겠지만 잘못된 방향으로 선택을 하는 경우 안 좋게 빠질 수 있는 현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고슴도치 딜레마 사람은 다른 사람을 만나면서 배울수도 있지만 상처도 받을 수 있습니다. 같이 있고 싶으면서도 떨어져 있고 싶은 마음 2개가 공존하는거죠. 이걸 고슴도치 딜레마라고 합니다. 대상에 대해 자립과 일체감이라는 양면성이 공존하는 모습은 고슴도치의 모습과도 닮아 있습니다. 1951년 독일의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 2024. 1. 4.
반응형